Ligand-based pharmacophore – Molecular Operating Environments (MOE)

https://youtu.be/53fWnrq4S00 MOE프로그램을 시용하여 활성을 지니는 ligand들로 부터 pharmacohore모델을 생성하고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내었습니다.
Homology modeling – Molecular Operating Environments (MOE)

https://youtu.be/GSOBgd_ilWc?si=bFGKpago33wx8SHX MO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서열정보만으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homology modeling 과정을 시연으로 보여줌. Demonstrate the process of homology modeling using the MOE program to predict protein structures based solely on protein sequence information.
Conformational search and MOPAC calculation – Molecular Operating Environments (MOE)

https://youtu.be/W9Wjj89cTcQ?si=1s-GEf6YeIEv0oZc MO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은 분자의 conformational search를 통해서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conformer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semi-empirical method로 계산되는 MOPAC계산 결과를 통한 시연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Molecular Visualization – MOE

https://youtu.be/G0OSEnKXod4?si=zjhdovKpQFBe6Vp6 신약설계 프로그램인 MOE를 이용한 분자 시각화 부분을 나타낸 동영상입니다.
최근 사용가능한 QSAR모델
REACh법안이 발효되면서 유럽에서는 지속적으로 기업의 비용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QSAR모델 개발과 관련된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중에서 특히 사용가능한 대외적인 프로그램들이 있어서 소개하고자 한다. CAESAR : CAESAR은 EU에서 출자한 프로젝트로 주로 REACh제도에 활용하기 위한 QSAR모델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현재 5종의 endpoint에 대하여 예측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http://www.caesar-project.eu/)1) Bioconcentration Factor2) Skin Sensitization3) Carcinogenicity4) Mutagenicity5) Developmental Reprotoxicity DEMETRA : […]